DevOps
오라클클라우드 프리티어를 이용한 k8s 구축 (1) 기본 세팅 설명
print(name)
2023. 5. 3. 19:23
오라클 클라우드는 큰 용량의 시스템 자원을 무료로 이용을 할 수 있다.
다른 기업의 서비스로는 AWS, GCP 등이 있지만 오라클클라우드만큼의 무료 서비스를 이용할만한곳은 없는것으로 보인다.
현재 테스트용도로만 사용하고있던 오라클클라우드의 인스턴스 구성을 초기화하고 쿠버네티스클러스터와 CICD, Monitoring을 구축하여 앞으로의 개발을 프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을 해보도록 한다.
기본적인 클라우드의 사용법 같은 내용은 다른곳을 찾아보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인스턴스 생성이나 서브넷 같은 부분들은 생략하도록 하겠다.
준비물
1. 인스턴스
오라클 클라우드 내의 나의 인스턴스들이다
arm | 4 cpu | 24gb ram | 100gb volume |
amd64 | 1 cpu | 1gb ram | 50gb volume |
amd64 | 1 cpu | 1gb ram | 50gb volume |
OS는 전부 우분투 22 진행할 것 이다.
오라클클라우드의 무료 컴퓨트 자원을 최대한 활용을 하였는데
VM.Standard.A1.Flex => 최대 4코어 24기가램
VM.Standard.E2.1.Micro => 최대 1코어 1기가램 * 2
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막강한 성능의 무료 클라우드를 구현할 수 있다.현재 2년째 이런 세팅으로 아주 잘 사용중이지만 VM.Standard.A1.Flex 는 항상 무료가 써있지 않는것을 봐선 언젠가 제한이 걸릴지도 모르겠다.
2. SSH 접속 확인
3개의 인스턴스에 ssh 접속이 잘 되는지 확인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