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mJn3o%2Fbtr2GtNkYVA%2FyYMdHZnh1Lrb3Drq9LFVx1%2Fimg.png)
리눅스에서 모듈을 다루기 위한 명령어들을 알아보겠습니다. 모듈 삽입 및 제거 insmod {모듈_파일_이름}: 지정된 모듈을 커널에 삽입합니다. rmmod {모듈_이름}: 지정된 모듈을 커널에서 제거합니다. 모듈 정보 확인 lsmod: 현재 적재된 모든 모듈의 정보를 출력합니다. modinfo {모듈_이름}: 지정된 모듈의 정보를 출력합니다. 모듈 디버깅 dmesg: 시스템 로그에서 최근 메시지를 출력합니다. 모듈 디버깅을 위해 사용됩니다. insmod -v {모듈_파일_이름}: 모듈 삽입 시 디버그 정보를 출력합니다. 모듈 컴파일 make: 모듈 소스 코드를 컴파일합니다. make clean: 모듈 컴파일 시 생성된 파일들을 삭제합니다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CR3Np%2Fbtr2GurZw2U%2F0YcVC189gBdCx9ABTnjk90%2Fimg.png)
커널에 탑재되는 모듈과 관련된 디렉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: /lib/modules/{kernel-version}/: 해당 리눅스 커널 버전에 대한 모듈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이 디렉터리는 커널 패키지를 설치할 때 생성됩니다. /etc/modprobe.d/: 이 디렉터리에는 모듈을 로드할 때 사용되는 모듈 로드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/proc/modules: 현재 로드된 모듈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. /sys/module/: 이 디렉터리는 모듈의 런타임 정보를 포함합니다. 이 디렉터리 구조는 모듈의 이름과 버전에 따라 달라집니다. /usr/src/linux-headers-{kernel-version}/: 이 디렉터리에는 커널 헤더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이 헤더 파일은 커널 모듈을 빌드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nyZxV%2Fbtr2DFHEM0E%2FcCatTAnjcyqdwLd0kOeYc1%2Fimg.png)
이 디렉터리는 사용자 계정이 추가될 때,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확인할 수 있는 디렉터리입니다. 이 디렉터리는 skel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사용자가 추가될 때, 시스템은 /etc/skel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복사합니다. 이렇게 함으로써, 모든 사용자는 공통된 파일과 디렉터리를 가지게 됩니다. 예를 들어, /etc/skel 디렉터리에 .bashrc 파일이 있다면, 이 파일은 새로운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.bashrc 파일로 복사됩니다. 따라서, 새로운 사용자는 공통된 bash 설정을 사용하게 됩니다. 이 디렉터리는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 전체적으로 사용되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관리하는 데에 유용합니다.